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딩테스트연습
- #포토샵#GTQ1급#누끼따기#누끼#보정#합성#인물보정#인물합성#누끼따는방법#펜툴로누끼따는방법#펜툴이용방법#펜툴사용방법#서이추#이웃#서이추환영#이웃환영#일상#소통#초보블로거#포토샵기초
- 알씨로열려요
- HTML
- transform
- java
- PSD파일 안열려요
- 퍼블리싱공부
- CSS
- 프로젝트 생성시 나는 오류
- spring
- 웹페이지제작
- powerShell 오류
- 프로그래머스
- 이미지알씨로열릴때
- 공부
- PSD 알씨로열려요
- 잘난웹디
- 네트워크
- 드래그앤드롭안됨
- 자바
- 퍼블리싱
- 드래그앤드랍해결방법
- PSD알씨로열릴때
- 코딩테스트 문제 SELECT
- 이클립스
- 백준코딩테스트 1단계
- 오류
- 드래그앤드랍
- SQL코딩테스트 연습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69)
기억하기 위한 기록
문제 및 해결 : Tomcat이 사용하고 있는 기본 포트(9505, 9580, 9509)가 이미 사용중이라 생기는 오류이다. 쓰고 있는 포트를 바꿔도 되고,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pid를 확인해서 삭제해주면 된다. 해결 방법 : 관리자 권한으로 cmd창을 열어서 해결한다. 1. netstat -p tcp -ano cmd창을 열어 포트확인 명령어인 netstat를 입력하면, 아래와같이 cmd창에 포트에 연결된 pid를 전부 볼 수 있다. Tomcat이 사용하는 기본 포트는 (8080,8009,8005) 이다. 실행오류가 뜬 포트 로컬 주소를 확인한 뒤, PID를 확인하자. 내가 오류가 난것은 9509이기 떄문에 PID는 24252이다. 그럼 pid 24252를 삭제하자. 2. taskkil /f /pid ..
태그는 anchor의 첫글자 'a'를 의미하며 , 다른 콘텐츠와 연결하는 하이퍼링크를 정의하는 태그이다. 다른 문서로의 이동 / 또는 같은 문서내의 이동이 가능하다. 웹 페이지에서 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각 경우를 정의해 보았다. 1. 클릭 이벤트 발생 시 페이지 전환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쓰인다. # + id를 사용해서 같은 문서내의 해당 element로 이동하도록 하는것인데, #으로 의미없는 링크를 주어 페이징이 안되도록 하는 것이다. #로 명시를 하는 것은 여러 블로그에서 '관례'라고 나와있지만 클릭시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와 같은 방법을 추천하기도 한다. 2. 만약 화면 최상단으로 이동을 목적으로 #를 쓴다면, 다음 코드와 같이 window.scrollTo()를 쓰는게 더 좋은 ..
- 태그는 해당 문서에 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(metadata)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. 요소는 , , , , 요소와 같은 다른 메타데이터 관련 요소들이 나타낼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때 사용되며, 이렇게 제공된 정보는 브라우저나 검색엔진, 다른 웹 서비스에서 사용하게 된다. 이러한 요소는 언제나 요소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. 만약 name 속성이나 http-equiv속성이 명시되었다면 반드시 content 속성도 함께 명시되어야 하며, 두 속성이 명시되지 않았다면 content 속성 또한 명시될 수 없다. HTML5에서는 요소를 통해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인 뷰포트(viewport)를 제어할 수 있도록 name 속성에 viewport속성값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1) ..
1. HTML이란? - 웹브라우저 상에서 보여지도록 디자인된 문서로서 표준화된 마크업 언어를 쓰고 있다. - 웹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빌딩 블럭으로 웹 콘텐츠의 구조와 의미를 결정한다. 1.1) 마크업 언어란? - 일반적인 텍스트와 문법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문서에 명기하는 언어를 말한다. 2. HTML의 구조 - html 태그 안은 로 나뉘어져 있다. 2.1) head 파트 -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UI적인 요소가 전혀 없으며, 타이틀이나 부가설명, 북마크 시 나오는 제목이나 아이콘 등이 정리되어 있다. (메타 데이타만 있다.) - CSS파일 연결시에 head 에서 연결한다 . --> 디바이스의 넓이를 다 사용한다라고 정의. 2.2) body 파트 - 작성하는 내용들이 html의 서식에 맞게 가공되어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