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오류
- 네트워크
- PSD파일 안열려요
- #포토샵#GTQ1급#누끼따기#누끼#보정#합성#인물보정#인물합성#누끼따는방법#펜툴로누끼따는방법#펜툴이용방법#펜툴사용방법#서이추#이웃#서이추환영#이웃환영#일상#소통#초보블로거#포토샵기초
- 웹페이지제작
- SQL코딩테스트 연습
- 퍼블리싱
- 드래그앤드랍해결방법
- spring
- CSS
- 드래그앤드랍
- 이미지알씨로열릴때
- transform
- powerShell 오류
- 자바
- 알씨로열려요
- 코딩테스트 문제 SELECT
- 이클립스
- 공부
- HTML
- 백준코딩테스트 1단계
- java
- 프로그래머스
- PSD알씨로열릴때
- 드래그앤드롭안됨
- 잘난웹디
- 프로젝트 생성시 나는 오류
- 퍼블리싱공부
- 코딩테스트연습
- PSD 알씨로열려요
- Today
- Total
기억하기 위한 기록
윈도우(Window) 포트 확인 명령어(NETSTAT) 사용방법 본문
NETSTAT는 윈도우(Windo)에서 포트 확인을 위해 이용하는 명령어이며,
윈도우와리눅스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.
(*단, 사용 옵션이 조금 상이하다.)
1. netstat 란?
netstat 명령어는 자신의 컴퓨터와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.
2. 사용방법(Window용)
명령프롬프트(CMD)에서 " >netstat /? "를입력하면 netstat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,
본 게시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-a, -n, -o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.
netstat에서 자주 사용되는 옵션 (-a, -n, -o) -a : 모든 포트를 표시해준다. -n : "IP주소 : 포트 " 형태로 보여준다. ex) 192.168.100:8080 -o : PID(프로세스ID)를 표시해준다. |
1) 현재 열린(LISTEN) 상태의 포트 확인
// TCP와 UDP모두 확인
> netstat -ano | find "LISTEN"
// TCP만 확인
> netstat -anp tcp | fidn "LISTEN"
// UDP만 확인
> netstat -anp udp | find "LISTEN"
나는 UDP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.
그런데, TCP는 알겠는데 UDP는 무엇인가?
[TCP / 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를 정리해놓은 게시글 참고 |
2) 특정 포트로 접속한 IP 확인
// 현재 Local 컴퓨터에 443포트로 접속한 ip 확인
> netstat -ano | find "443"
// 현재 Local 컴퓨터에 특정 IP의 80포트로 접속한 리스트 확인
> netstat -ano | find "특정 IP:443"
나는 안나옴
3) 특정 PID의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명령어
아래 tasklist명령어를 통해 특정 PID의 해당 프로그램명 확인 후, Windows 작업관리자를 통해 종료시킨다.
> tasklist | find "pid"
<공부참조>
- netstat 참조
'기타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드래그 앤 드롭 안될 때 해결 방법 (2) | 2023.10.23 |
---|---|
Github 기초 : add , commit, push, pull (0) | 2021.06.18 |
[web] Cookie / Local Storage / Session Storage의 차이점 (0) | 2020.12.16 |
[네트워크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(0) | 2020.12.01 |